변액연금보험 10년 만기 납입 후기

돈그림


변액연금보험을 가입하신분이라든지 가입을 계획하시는 분은 10년 납입을 완료하고 12년 동안 변액연금보험을 유지하고 있는 저의 글을 참고하셔서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변액연금보험 마이너스 수익률

2012년 초에 교보생명에서 판매하는 변액연금보험을 가입한 적이 있습니다. 월 10만원을 10년 납입하는 조건으로 가입했는데, 한 달에 10만원 정도는 적금 든다는 생각으로 가입했습니다. 자동이체를 걸어 놓고 몇 년 동안 잊고 지내다가 코로나가 한창 유행하던 시기에 주식 열풍이 불면서 문득 생각이 나서 들여다 보게 되었습니다.

보험금을 납입한 이래로 8년이 지났는데도 수익률이 플러스는 커녕 납입한 보험료의 본전도 되지 않는 걸 보고 적잖이 당황했던 기억이 납니다.


변액연금보험 가입 이유

처음 변액연금보험에 가입할 때에는 재태크에 대해 아무런 사전지식이 없는 상태로 친한 선배가 소개해 준 것이라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가입했지만, 사실 묻지도 따지지도 않은게 아니라 무엇을 물어야 하는지 모르는 상태로 변액연금보험을 덜컥 가입한 것이지요.

월 10만원이 큰 금액은 아니지만 10년 동안 모으면 그래도 1200만원이라는 뭉칫 돈이 만들어 지는 터라 제대로 알아보자는 생각이 들어 많은 것을 찾아 보았습니다.


변액연금보험 가입할 때 따져봐야 할 것

변액연금보험의 높은 사업비 차감

변액연금보험을 가입할 때 가장 큰 단점이 바로 높은 비율의 사업비를 차감한다는 것입니다. 제 변액연금보험을 예시로, 납입보험금의 11.7%가 사업비 명목으로 보험사에서 떼가는 돈입니다. 10년간 총 납입액 1200만원의 11.7%면 140만원이나 되는 돈을 보험사에서 꿀꺽하는 것이지요.

그 당시 적금이자가 대략 3%정도 임을 감안하면 엄청난 차감비율입니다. 그래서 보험사에서 변액연금보험을 팔려고 기를 쓰고 홍보했던 것 같습니다. 한 건 가입시킬 때마다 보험사는 11.7%의 확정 수익을 올리는 것이지요. 물론 직원 월급이나 펀드 운용비용 등의 지출하는 비용이 있겠지만 어찌됐든 개인에게 11.7%는 어마어마한 것입니다.

여기서 끝이 아니고 위험보험료도 떼가고, 펀드변경 수수료 등 여러가지 수수료도 있답니다. 이러니 보험금을 8년 넘게 납입했어도 수익률이 마이너스일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변액연금보험 가입시 팁 : 추가납입을 잘 활용하자

추가납입이란 매월 보험금을 납입하는 금액 이외에 기본 보험료의 200%(2배) 정도까지 추가해서 보험금을 납입할 수 있는 것입니다. 추가로 납입하는 기간이 있는데요, 보통 연금개시 5년전, 7년전, 10년전에 납입할 수 있습니다. 추가납입의 장점은 계약유지관리 비용이 기본보험료보다 저렴하다는 것입니다.

만약 월 납입 30만원짜리 변액연금보험을 가입할 계획이라면, 기본 보험료를 월 10만원짜리를 가입하고 20만원은 추후에 추가 납입하여 보험금을 30만원으로 맞추는 것입니다. 추가납입 보험금을 적금이나 ISA통장 등에 따로 모아 두고 있다가 증시가 곤두박질 칠때나 코로나와 같이 경기가 안좋을 때 추가납입을 하면 몇 년 뒤에 높은 수익률을 보실 수 있습니다.


변액연금보험 10년 만기 납입 후기

저의 지인들은 변액연금보험을 3년~5년 사이에 원금 손실을 보고 대부분 해지를 하셨는데요. 저는 다행인지 불행인지 10년 만기가 다 되가는 시점인 8년차부터 변액연금보험을 인지하게 되어 넣은 기간이 아까워 그냥 지켜봐 오게 되었습니다.

코로나 때 한 두번 정도 펀드변경을 시도해 보다가, 미국 주식만한게 없다는 생각에 채권형, 단기채권형, 코리아인덱스혼합형, 글로벌인덱스혼합형의 4가지 펀드 중에 글로벌인덱스혼합형 펀드에 올인한 후 지켜본지 3년정도 되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10년 만기를 채우고 지금은 12년 째 유지하고 있습니다.

변액연금보험 10년 납입 수익률



결과적으로 총 납입금액 12,200,000원(20만원은 추가납입금 입니다.)으로 사업비 차감, 수수료 차감 등 다 떼고 현재 적립금이 13,658,440원이 되었고 납입 원금대비 수익률은 11.95%가 되었습니다.

글로벌인덱스혼합형 펀드 수익률



최근 미국 증시가 역대 최고를 기록하는 바람에 펀드 수익률이 35.8%로 올랐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채권형 펀드의 수익률을 확인해 보니 20%대 입니다. 만약 10년간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에다가 넣었다면 수익률이 훨씬 좋았을 테지만, 변액연금보험이란 투자도 나름 분산투자라 생각하고 좋은 경험했다고 정신 승리하고 있는 중입니다.

그래도 변액연금보험이 10년 이내로는 수익률이 좋지 않지만 만기가 되고 12년차가 되니 자그마한 불꽃이 일고 있어, 시간투자를 더 길게 끌고 가면 좋은 결실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변액연금보험 수익률이 낮아 해지 고민이라면

변액연금보험 펀드 변경 및 운용 노하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