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질량지수로 비만확인 하는 방법

1월 1일 이후 다가오는 여름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잊고 지내던 헬스장을 등록하며 몸매 가꾸기에 열을 올립니다.

하지만 작심삼일이라고 했나요. 헬스장으로 가는 길이 이렇게 먼 것일까요?

그리고 갑자기 저녁약속에 회식에, 술 약속은 자꾸 생기는 것일까요?

자기가 가진 몸매는 항상 어딘가 부족하고 살찐 것 같습니다.

내 친구는 나와 키, 몸무게가 같은데 왜 몸매는 그 친구가 더 이뻐 보일까요?

체중과 몸매의 상관관계, 체질량지수로 비만확인 하는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체중이 많이 나가도 몸매가 좋은 이유

우리 몸은 수분과 뼈와 근육, 지방 등 많은 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지방과 근육은 서로 부피가 다릅니다.

즉 같은 무게의 지방과 근육을 비교했을 때 지방의 부피가 약 20%정도 더 크답니다.

그래서 내 친구와 내가 키와 몸무게가 같더라도 근육이 많은 내친구는 날씬해 보이고, 지방이 많은 나는 내 친구보다 20%정도 더 뚱뚱해 보입니다.

나와 내친구 둘 모두 165cm의 키에 45kg이라고 가정했을 때, 지방이 많은 나는 20%가 더 쪄보이니 54kg인 안좋은 효과가 생기는 것입니다.

그래서 무작정 유산소운동만 할 것이 아니라 적당한 웨이트 운동을 겸해주어야 멋지고 늘씬한 몸매를 가질 수가 있는 것입니다.


체질량지수로 비만확인

체중만 줄인다고 건강하고 늘씬한 몸매가 되지 않습니다.

저체중은 건강에 그리 좋지 않습니다.

바로 내 몸에 어울리는 적당한 체중을 유지해야 하는데요.

내 키와 몸무게를 가지고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를 산정하여 내가 현재 비만인지 정상인지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체질량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1. 키를 m단위로 환산한다.(165cm → 1.65m)
  2. 키를 제곱한다.(1.65m × 1.65m = 2.7225m2)
  3. 체중을 2번으로 나눈다.(45kg ÷ 2.7225 = 16.5289)
  4. 계산된 체질량지수(BMI)를 가지고 판정한다.
  5. 아래 판정결과 16은 저체중에 해당하므로 몸무게를 더 늘려야 할 것입니다.



판정하는 기준이 아래와 같습니다.

  • 18.5 미만 – 저체중
  • 18.5 이상 ~ 23 미만 – 정상
  • 23 이상 ~ 25 미만 – 과체중
  • 25 이상 ~ 30 미만 – 비만
  • 30 이상 – 고도비만


건강한 몸매와 복부비만 관리

체질량지수로 비만확인, 줄자로 허리둘레를 측정하고 있다.

체질량지수 외에도 건강하고 늘씬한 몸매를 관리하려면 복부비만을 특히 신경써야 합니다.

다른곳이 마르더라도 복부가 볼록하면 몸매도 이쁘지 않고 다른 질환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복부비만 여부는 간단하게 복부둘레를 측정해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

측정 방법은 줄자를 가지고 배꼽 높이에서 복부둘레를 측정하시면 됩니다.

측정 결과 남성일 경우 90cm 이상, 여성일 경우 85cm 이상이면 복부비만입니다.

복부비만인 체로 오랜 기간이 지나면 당뇨병, 관상동맥질환, 대사증후군에 걸릴 위험도 늘어난다고 하니 건강한 몸매 뿐 아니라 건강 자체를 위해서 복부비만 관리를 하도록 해야 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