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의 여러 이름과 태풍의 분류와 등급

2016년 북대서양에서 발생한 허리케인의 위성사진
2016년 북대서양의 허리케인 위성사진

여름철이 되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태풍으로 우리 국민들은 초긴장 상태가 됩니다.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중국과 일본이 방파제 역할을 해주어 태풍상륙의 횟수를 줄여주지만 한번만 제대로 관통하면 크나큰 피해를 입게 됩니다.

우리가 흔히 부르는 태풍은 Typhoon이란 단어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태풍(Typhoon) 말고도 허리케인(Hurricane), 사이클론(Cyclone)이란 단어도 들어보셨을 텐데요.

이러한 태풍의 여러 이름들이 어떨 때 사용되고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태풍의 여러 이름

우리가 흔히 부르는 태풍은 Typhoon이란 단어를 사용합니다.

공식적인 태풍위원회에서도 Tyhoon Committee로 쓰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등에서 발생하는 태풍을 Typhoon이라고 쓰인다고 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태풍을 허리케인, 사이클론으로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 이유는 바로 태풍 발생 지역에 따라서 입니다.

  • 태풍(Typhoon)은 태평양에서 발생하는 태풍의 이름입니다.
    • 태풍위원회가 태평양지역의 나라들로 구성된 점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는데요.
    •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발생되는 돌풍의 이름을 태풍이라고 부릅니다.
  • 허리케인(Hurricane)은 대서양과 북태평양에서 발생하는 태풍의 이름입니다.
  • 사이클론(Cyclone)은 인도양과 남태평양에서 발생하는 태의 이름입니다.


태풍과 토네이도(Tornado)의 차이

토네이도는 태풍과 별개로 지상에서 발생하는 회오리를 지칭합니다.

회오리 바람이 꼭 용이 승천하는 것 같다고 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용오름이라고 부릅니다.

주로 미국의 중부와 남부, 중서부에 자주 발생하며 미국 중부의 켄자스시티(Cansas city)는 토네이도로 유명한 곳입니다.

우리가 아는 이야기 중 오즈의 마법사에서 주인공 도로시가 토네이도를 타고 오즈로 넘어가는 것으로 이야기가 시작되는데요.

이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곳이 바로 바람의 도시 켄자스시티인 것입니다.

토네이도 말고도 영화제목으로도 유명한 트위스터(Twister)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요.

토네이도와 트위스터는 같은 의미로 쓰입니다.

미국의 네브라스카주에서 발생한 토네이도의 사진
미국 네브라스카주에 발생한 토네이도 사진



태풍은 그 규모가 500km 정도에 달할 정도로 우리나라 전체 크기에 맞먹는 규모의 자연재해 입니다.

그런 반면에 토네이도는 국지적으로 한 지역에서 발생하는 작은 규모의 돌개바람으로 생각하시면 그 차이가 이해됩니다.

하지만 이 작은 규모의 이상현상도 회전하는 강도가 매우 강한 것은 집들을 다 날려버릴 정도로 지역을 초토화 시키곤 합니다.

특히 미국의 건축방식이 목재를 이용한 방식이 많기 때문에 토네이도의 피해 사진을 보면 동네 집들이 거의 반파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 중부지역의 집은 대다수가 지하 대피소를 마련해 놓고 있습니다.


태풍의 분류와 등급

세계기상기구(WMO)의 태풍 분류 기준

태풍은 열대저기압의 한 종류로 세계기상기구(WMO)에서 분류하는 방법에 따르면 열대저기압 중에서 중심부근의 최대 풍속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합니다.

  • 33m/s 이상인 것을 태풍(TY)
  • 25~32m/s 인 것을 열대폭풍(STS)
  • 17~24m/s 인 것을 열대폭풍(TS)
  • 17m/s 미만인 것을 열대저압부(TD)로 구분합니다.

보통 풍속 15m/s 이상인 것을 태풍이라고 부르는데요.


태풍의 규모에 따른 분류

태풍의 중심에서 풍속 15m/s 이상의 강풍이 부는 반경에 따라서 태풍 규모를 분류하기도 합니다.

  • 300km 미만일 경우 소형(Small)
  • 300km 이상 500km 미만일 경우 중형(Medium)
  • 500km 이상 800km 미만일 경우 대형(Large)
  • 800km 이상일 경우 초대형(Extra-Large)


태풍의 강도에 따른 등급

태풍의 강도는 최대풍속에 따라 분류되는데요.

  • 최대풍속이 25m/s ~ 33m/s는 중(Normal)강도
  • 최대풍속이 33m/s ~ 44m/s 는 강(Strong)강도
  • 최대풍속이 44m/s ~ 54m/s는 매우강(Very strong)강도
  • 최대풍속이 54m/s 이상은 초강력(Super strong) 강도로 구분합니다.


2024년 제1호 태풍 에위니아(Ewiniar)와 태풍 이름 순서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