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누각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모래 바닥 위에 멋진 누각을 지은들 약한 모래 바닥은 금세 붕괴되고 말 것입니다.
우리 선조들은 집을 지을 때 주춧돌이라고 하여 건축에 있어 주춧돌의 위치와 그 다룸에 있어서 많은 공을 들였다고 합니다.
이렇게 기초는 말 그대로 구조물을 앉히는데 가장 기초가 되는 중요한 부분 입니다.
이 기초를 어떻게 할지를 판가름 하기 위해서 지반에 대해서 여러종류의 조사를 수행해야 합니다.
땅속에 지하수는 있는지, 지반이 어떠한 토질로 되어 있는지, 동결심도는 어떻게 되는지 등이 중요한 변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평판재하시험(PBT, Plate Bearing Test)은 기초지반의 지지력 계수를 구하는 시험으로, 강성의 재하판에 하중을 가하여 하중에 따른 지반의 침하량 관계를 나타내는 시험입니다.
건물이나 구조물을 설치할 때 건물의 자중과 사용하중 등을 지반이 버틸 수 있을지를 간단하게 시험해 보는 용도입니다.
이 평판재하시험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평판재하시험의 목적
설계단계에서 가정한 지반의 지내력이 실제 지반의 지내력과 맞는지 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으로 기초지반의 변형특성을 검토할 때와 지반의 극한지지력의 확인을 위하여 시험하기도 합니다.
평판재하시험의 측정방법
평판에 하중을 가해야 하기 때문에 보통 현장에서는 주변에 있는 백호(포크레인) 또는 덤프트럭에 화물을 적재하여 그 건설장비 아래에 변위계를 설치합니다.
그 후 재하장치로 하중을 재하함으로써 지반이 어느정도의 침하를 보이는지 확인합니다.
평판재하시험 측정장비
- 재하판 : 지름 30cm~75cm(두께 25mm 이상)의 정사각형 또는 원형의 철판을 사용합니다.
- 반력장치 : 보통 백호 또는 토사 등을 적재한 덤프트럭의 하중을 이용합니다.
- 재하장치(Jack) : 최대 50톤의 유압식 잭을 사용합니다.
- 침하량 계측장치
- 하중계 : 하중계 용량은 최대시험 하중의 120~200%를 사용합니다.
- 변위계 : 정밀도는 1/100mm로서 예상침하량 이상 측정이 가능해야 합니다.
평판재하시험 시험순서
- 시험지반 정리 : 수평으로 고르고 모래를 얇게 포설하여 평판이 기울지 않도록 합니다.
- 재하판 설치 : 보통 백호나 덤프트럭을 이용하여 설치합니다.
- 재하하중 : 총 재하하중은 설계하중의 200~300%까지 재하합니다.
- 하중증가 : 하중을 단계적으로 재하하여 각 단계마다 침하를 측정합니다.
- 예상지지력의 1/5가 넘지않는 하중으로 나누어 하중을 가하고 단계별 하중은 10t/m2을 초과하지 않습니다.
- 재하시간 : 각 단계별 하중을 가하는 시간은 15분 이상이 경과된 값을 사용합니다.
- 침하측정 : 하중 증가 전후 하중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동안 동일한 시간간격으로 6회이상 측정합니다.
- 최종하중에 대한 침하측정이 완료되면 하중을 제거하고 탄성반동이 일어나지 않을 때까지 하중을 측정하고, 반복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5분 간격으로 실시합니다.
- 예상지지력의 1/5가 넘지않는 하중으로 나누어 하중을 가하고 단계별 하중은 10t/m2을 초과하지 않습니다.
- 하중침하량 곡선 작성 : 재하한 하중과 침하량을 가지고 하중-침하량 곡선을 작성합니다.
- 지지력계수 : 하중-침하량 곡선을 작성하여 지지력계수(k)를 구합니다.
평판재하시험의 시험위치 및 시험수량
- 시험위치 : 부지를 대표하는 기초지면에 시험하여야 하고, 주요 부재의 위치, 타워크레인의 설치 위치, 구조물의 코어같이 중요한 위치에 시험합니다.
- 시험수량 : 최소 3개소 이상 시험하여야 하고, 시험위치끼리의 이격거리는 재하판 지름의 5배 이상 떨어진 곳에서 합니다.
평판재하시험시 유의사항(Scale Effect)
Scale effect
- 재하판의 크기에 따라서 시험범위를 제한하는데요.
- 평판재하시험은 재하판 폭의 2배에 해당하는 깊이까지만 효과가 있으므로 기초폭의 2배 이상에서의 하부지층을 보링조사 등을 통하여 정확히 파악하여야 합니다.
- 따라서 지층이 균일할 경우에만 평판재하시험 결과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며, 표준관입시험, 토질주상도 등의 자료를 종합하여 분석검토 후 지내력을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지하수위 변동상황에 대한 고려
계절적으로 겨울철에는 지하수위가 내려가므로 지내력이 여름철보다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지반 내 수분포화 정도가 높을 수록 지반의 지내력이 낮아집니다.
기초 터파기 한 표면에 시험
평판재하시험을 할 경우 계획고가 현재 지반고 보다 레벨이 낮을 경우 어느정도 터파기 후 최종 지반상태에서 약 50cm정도를 들어서 평판재하시험을 실시해야 합니다.
가장좋은 것은 터파기 완료 후 원지반이 나왔을 때 시험하는 것인데, 이 상태로 시험하게 되면 시간이 지난 후 원지반이 교란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원지반 계획고에서 약 50cm정도를 들어서 시험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