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이면 온 산천이 초록빛으로 물들고 우리 아이들의 마음도 파릇파릇하게 물들게 됩니다.
바로 5월 5일 어린이날이 있기 때문이죠.
노래에서도 5월은 어린이날 우리들 세상이라고 하죠.
우리에게 꿀 같은 휴일을 제공하는 1년에 몇 안되는 공휴일 중 하나인 어린이날이 무엇을 기념하는 것인지, 그리고 왜 5월 5일이 되었는지 그 변천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이를 어린이라 부르게 된 이유
옛날 1900년대 아이들은 사회에서 제대로 된 인격으로 취급을 받지 못하였습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소파 방정환 선생께서 1922년 3월 16일 동경에서 색동회를 조직하고, 아이들을 인격을 가진 사회 구성원의 한 사람으로 대하자는 취지에서 봄에 새싹이 자라는 5월 1일을 어린이날로 정하였습니다.
‘어린이’라는 단어도 ‘젊은이’, ‘늙은이’ 등과 대등하게 사용하고자 해서 만들었다고 합니다.
방정환 선생의 호인 소파(小波)는 잔 물결이라는 의미로 어린아이들 가슴에 잔 물결을 일으켜 훗날 큰 물결(대파)이 되기를 소망하는 의미로 어린이를 위해 한평생을 노력하신 훌륭하신 분입니다.
1923년 ‘어린이선언’을 통해 아이들이 당시 사회에서 어떠한 대접을 받았는지 엿 볼 수 있는데요.
- 어린이를 내려다보지 마시고 쳐다보아 주시오.
- 어린이를 늘 가까이 하고 자주 이야기를 하여 주시오.
- 어린이에게 경어를 쓰되 늘 보드랍게 하여 주시오.
- 이발이나 목욕, 의복 같은 것을 때 맞춰 하도록 하여 주시오.
- 잠자는 것과 운동하는 것을 충분히 하게 하여 주시오.
- 산보와 원족(소풍) 같은 것을 가끔 가끔 시켜주시오.
- 어린이를 책망하실 때에는 쉽게 성만 내지 마시고 자세히 타일러 주시오.
- 어린이들이 서로 모여 즐겁게 놀만한 놀이터나 기관 같은 것을 지어 주시오.
- 대우주의 뇌신경의 말초는 늙은이에게 있지 아니하고 젊은이에게도 있지 아니하고 오직 어린이 그들에게만 있는 것을 늘 생각하여 주시오.
내용에서 보듯이 지금은 사회적으로 당연하다고 생각되는 것들이지만 당시 어린이들에 대한 대우가 굉장히 열악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월 5일이 어린이날이 되기까지 변천사
소파 방정환 선생님이 제정한 1922년의 첫 어린이날은 5월 5일이 아니고 5월 1일 이었습니다.
하지만 5월 1일은 노동자의 날(현재의 근로자의 날)과 겹친다고 해서 1927년부터는 매년 5월 첫째주 일요일로 어린이날을 변경하였습니다.
이 당시 어린이날 행사가 갈수록 규모가 커지자 일제는 민족말살정책의 일환으로 어린이날 행사를 금지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렇게 일제 강점기에도 어린이날은 명맥을 유지해 오다가 현재와 같이 어린이날이 5월 5일로 바뀌게 된 계기는 광복 이후 입니다.
해방 후 첫 어린이날인 1946년 5월 첫째주 일요일이 5일이었기 때문입니다.
요일로 어린이날을 지정하게 되면 매년 날짜가 변경되어 혼동이 올 수 있어 1946년 이후부터 지금까지 5월 5일을 어린이날로 고정하고 있습니다.
1960년에는 5월 5일 며칠 전인 4월 19일에 ‘4.19혁명’이 일어나 어린이날 행사가 열리지 못하는 등 광복 이후 1970년대에 이르기까지 어린이날 행사가 흐지부지 되었습니다.
1975년 1월 27일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일부 개정되어 어린이 날이 법정 공휴일로 지정 되면서부터 어린이 날 행사가 활발해 졌습니다.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1975년 1월 27일 일부개정)
2018년부터는 어린이날이 주말이나 다른 공휴일과 겹칠 경우 대체공휴일을 주고 있습니다.
[아동복지법] 제6조(어린이날 및 어린이주간)에 매년 5월 5일을 어린이날로 지정하고 5월 1일부터 5월 7일까지, 즉 5월 첫째주를 어린이 주간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5월은 어린이 달이라고 불리는 것입니다.
이상으로 어린이 날이 제정된 배경과 5월 5일이 어린이 날로 지정되게 된 이유, 어린이 날의 변천사를 알아 보았습니다.